[한국어판] 통일한국 항공 트리

이 스레드는 통일한국 항공 트리 제안의 한국어 원본입니다. 제안 자체에 대한 논의나 반응은 가급적 위 링크의 스레드에서 부탁드립니다.

통일한국 헬기 트리 제안에도 많은 관심 바랍니다.




1. 제안의 배경

A. 단독 트리의 가능성


통일한국 지상군 트리개발자에게 전달되었었습니다.


구 포럼에서도, 항공 트리 제안 원본은 이용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남한과 북한의 군산복합체들은 꽤 흥미롭고 독창적인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남한은 그들의 독자적인 MBT, 미사일 방공, 그들의 독자적인 무기와 탄약을 가지고 있는 발달된 산업 국가로, 미래에 이 게임에 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북한 또한 매우 다양하고 흥미로운 장비들을 최근 몇 년간의 열병식에서 정기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역학(역주: 이스라엘처럼 4랭크부터 시작하는 트리)은 이처럼 초기 시대의 장비가 부족한 국가들을 추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수석 개발자 뱌체슬라프 불란니코프(Vyacheslav Bulannikov)

워 썬더 공식 채널의 '당신의 질문에 답합니다’에서도, BVV_d는 한국이 새로운 국가로 등장할 가능성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내놓았습니다.

이 제안은, 위의 통일한국 지상군 트리와 더불어, 한국을 이스라엘처럼 독립(단독) 국가 트리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공고히 하고자, 저는 항공 트리를 준비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B. 왜 단독 트리가 되어야 하나?

이 게임에 남북한의 장비를 구현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 a. 골든 이글/꾸러미/배틀 패스/이벤트 프리미엄: 이 방법으로 구현하기에는 너무 많습니다. 한국과 유일하게 기술적으로 관련이 있는 국가는 미국이지만, 미국은 이미 충분히 많은 이벤트 장비들을 가지고 있어서, 남한의 장비들이 그렇게까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 b. 서브 트리: 이 방법 또한 장비들이 너무 많습니다. 특히 남한을 특정 국가의 서브트리로 구현한다면, 해당 국가 트리에서 높은 랭크는 남한의 장비들에 압도될 것입니다. 북한의 경우는 역사적으로 장비 개발이 소련과 중공 둘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았기 때문에 둘 중 어느 쪽으로 붙여야 할지 난감한 상황이 될 것입니다.
  • c. 단독 트리: 이 접근법이 저희가 이 스레드에서 제안할 방법입니다.

혹자는 "왜 남한을 일본의 서브 트리로 구현하지 않습니까? 일본은 높은 랭크 차량들이 부족합니다!"라고 주장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것은 역사적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지 차량이 부족하다는 이유만으로 이스라엘에 이집트나 요르단, 사우디, 시리아 등의 장비를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더욱이, 일본은 남한과 군사적/기술적 연결이 없습니다. (남아연/남아공-영국 또는 핀란드-스웨덴과는 달리) 그러므로 딱히 근거 없이 일본에 남한의 장비를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그들은 단지 지도에 나란히 놓여 있을 뿐입니다. 스토나(커뮤니티 매니저) 또한 일본과 남한이 서로 어떠한 기술적 연관이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게다가, 앞서 설명했듯이, 해당 국가의 트리에서 높은 랭크는 한국제 차량들로 뒤덮일 것입니다. 일본과 남한의 기술적/정치적 연관성에 대해 헛소리를 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게임적 문제나 현실에서 이 두 국가가 기술적으로도 연관이 없고 동맹 관계도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단지 더 많은 차량들을 얻고자 하는 욕심에 일본과 한국의 관계에 대해 거짓말을 지어내기도 하지만, 한국인들과 일본인들 모두 일본을 위한 한국 서브 트리를 원하지 않습니다. 또, 일본의 기술에 흥미가 있어서 일본 트리를 뚫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봤을 때, 목을 빼고 기다리던 업데이트에서 정작 일본과 기술적으로 관련이 없는 한국산 장비들이 튀어나온다면 불쾌할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이유로 일본 트리에 한국 서브 트리를 원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일본인 커뮤니티에서 많이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을 단독 트리로 구현하는 장점은 무엇일까요? 이 질문에 답하건대, 저는 높은 랭크에서 더 많은 장비들이 추가될 수 있다는 잠재력을 제시할 것입니다. 다른 단독 국가 후보들과는 달리, 한국은 지금 이 순간에도 지상과 항공 양 쪽 모두에서 새로운 고유 장비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트리가 더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 기술 트리

A. 둘러보기 및 구조

범례)

이름의 배경색

  • 전투기(Fighter)
  • 타격기(Strike Aircraft)
  • 폭격기(Bomber)

BR의 배경색

  • ㄹㅇ 복붙
  • 고유/독자 개조(무장, 레이더, 기타 등등)가 있거나, 신규 모델링이 필요한 경우
  • 한국이 원산

면책 조항)

  • 눈치가 빠른 분은 알아채셨겠지만, “Rank VIII” 대신 “SOON™” 이라고 적은 것은 단순히 해당 기체들의 플레이스타일이나 기술적 연속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위치가 적절할 것이라는 예상일 뿐이지, 이러한 기체들이 당장 구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 저는 각 기체의 BR에 대해 보장하지 않습니다. 저는 제 생각에 최선을 다하여 그럴듯한 BR을 책정했지만, 어쨌거나 키를 잡고 있는 것은 가이진이고, 통계와 전투 효율성에 의하여 바뀔 수 있습니다.

분량)

합계: 44 연구 가능(정규) + 13 프리미엄. (이스라엘과 비교해 보십시오.)

분류별 비율
  • 20(34.48%)
  • 28(48.28%)
  • 10(17.24%)
랭크 당 장비 수
  • Rank IV: 9 연구 가능 + 1 프리미엄
  • Rank V: 9 연구 가능 + 3 프리미엄
  • Rank VI: 6 연구 가능 + 4 프리미엄
  • Rank VII: 9 연구 가능 + 2 프리미엄
  • Rank VIII: 4 연구 가능 + 1 프리미엄
  • SOON™: 7 연구 가능 + 2 프리미엄

국기)

이 트리는 아래의 6개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Republik Indonesia Republic of Indonesia
  • Republika ng Pilipinas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Réewum Senegaal Republic of Senegal
  • Rzeczpospolita Polska Republic of Poland

B. 콘셉트

저희는 당신의 우려(너무 많은 복붙 항공기들)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이에 저희는 다음의 콘셉트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대한민국 공군 전투기들은 미국의 원본과 비교했을 때 한 단계 높은 BR을 배정받는 대신, 한 단계 나은 무장(물론 고증에 맞는)을 얻습니다. 예를 들면, F-86F-40은 AIM-9P를, F-4E는 AIM-7M을 얻을 것입니다. 센추리온을 구매하여 사용했던 스웨덴의 사례를 보면, 영국의 원본보다 강력한 탄약을 사용합니다. 보다 확실한 킬 결정력을 갖는 대신 해당 장비의 BR에 비해 처지는 비행성능으로 인하여 위치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방식으로, 우리는 색다른 플레이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한편, 대한민국 공군의 항공기들과는 반대로, 조선인민군 공군의 항공기들은 소련/중공제 원본에 비해 한 단계 구식의 무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C. 대한민국 공군 전투기 (경전투기)

  • F-5A 프리덤 파이터
접기/펴기

F-5에 대해 이야기하기에 앞서서, 배틀필드 V™를 떠올려봅시다. 2차대전에는 많은 여군들이 있었습니다. 의수를 단 채 싸운 사람도 있었습니다. 어딘가에는 워 페인팅을 한 채 전투에 뛰어든 사람도 있었을 겁니다. 크리켓 방망이를 적군의 얼굴을 향해 휘두르던 사람도 한 명쯤은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이 요소들을 한 그릇에 담았을 때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현재 이 게임의 F-5 시리즈는 키메라입니다. RWR, 채프/플레어 디스펜서, 심지어 매버릭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옳지 않습니다. 어떤 국가가 F-5에 어떤 업그레이드를 적용했다고 해서, 이 게임에 등장하는 모든 F-5 시리즈가 그것의 수혜를 누린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1965년 도입된 F-5A/B는 한국 공군 최초의 초음속 전투기였습니다. 한국은 대만과 더불어 최대의 F-5 계열기 운용국으로, 모든 F-5 계열에 걸쳐 총 395기를 도입하였으며, 운용한 바리에이션들은 F-5A/B, RF-5A, F-5E/F, KF-5E/F, T-38로 총 8가지나 됩니다 F-5A는 1970년대 대한민국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 가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 트리에서의 F-5A는 레이더와 RWR, 그리고 채프/플레어 디스펜서를 갖추지 못한 기본형 F-5A를 드러냅니다.

  • F-5E 타이거 II
접기/펴기

라이센스 생산이 아닌 직수입한 F-5로, 남한 공군 조종사들은 후술할 KF-5E와 구분하기 위해 이것을 “F-5 (일반)” 이라고 부릅니다.

1974년 첫 도입이 시작되었을 당시에는 F-5E-1 사양 수준의 기본형으로, AN/APQ-153 레이더를 장비하며 기타 생존장비는 도입 당시에는 장비하지 않지만, 훗날 한국 공군의 자체적인 개량을 통해 RWR(SPS-1000)과 AN/ALE-40 디스펜서를 장착하였습니다. 외형상 특징으로 레이돔이 검정색이라는 점이 있습니다.

  • KF-5E 제공호
접기/펴기

1982년부터 대한항공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제공호는 최초의 국내 생산 전투기로 오늘날 대한민국 항공기 개발의 시초격인 항공기입니다.

성능상 변경점은 레이더를 AN-APQ-159로 교체하였으며, RWR(AN/ALR-46(V)9)과 AN/ALE-40 디스펜서를 기본적으로 장착하였으며, LEX의 크기가 확장되었고, 레이돔을 샤크 노즈 형상으로 교체하였습니다. 안정성과 선회성능이 더 우수하며, 또한 21세기에 들어서 KGGB(한국형 JDAM-ER)을 운용할수 있도록 개량되었습니다.

외형상 가장 큰 차이점은 F-5E와 다르게 레이돔이 회색이며 수직미익에 T자형 ILS안테나가 있고, 레이돔 옆에 “제공(Air supremacy)” 이라는 글자가 적혀있다는 점입니다.

운용하는 무장으로는 AIM-9P3/4, CBU-58, Mk. 82, Mk.84, 2.75” 로켓이 있습니다.

  • F-16C 피스 브릿지
접기/펴기

1981년 12월, 대한민국 정부 피스 브릿지 I 대외군사판매 사업에 따라 F-16C/D 블록 32 파이팅 팰컨 36대를 구매하는 계약서에 서명했습니다. 이로써 대한민국 공군은 F-16C/D 모델의 첫 번째 외국 운용국이 되었습니다.

F-16C/D 블록 32 사양을 직수입한 기체들으로 대한민국 공군이 최초로 도입한 F-16 계열기입니다. 당초 F-16A/B가 F-20을 상대로 한 경쟁 끝에 채택되었으나, 때마침 F-16 C/D가 출시되어 F-16C 30대, F-16D 6대를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한국 공군에서는 KF-16과 구별을 위해 F-16PB라고 부릅니다.

미 공군의 F-16C Block 30은 GE F101 DFE (now redesignated F110) 엔진을 사용하지만, 한국 공군의 F-16C Block 32는 P&W F100-PW-220 엔진을 사용합니다.

  • KF-16C (초기형)
접기/펴기


한국 언론에 실린 F/A-18의 광고


자유 · 평화 · 미래 - 맥도넬 더글라스의 F/A-18기를 선정해 주신 대한민국 국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동아일보에 게재된 맥도넬 더글라스사의 광고. 1989년, KFP 사업의 모델로 F/A-18C/D가 채택되었습니다. 하지만, 맥도넬 더글라스사가 갑작스레 가격을 거의 절반 가까이 인상하자, 큰 논란이 일었고 채택이 취소되었습니다. 1991년, KFP 사업의 후보 모델을 재검토한 결과, 록히드 마틴사의 F-16C/D 블록 52가 채택되었습니다.

KFP(Korean Fighter Program) 사업은 미국 록히드마틴의 F-16 전투기를 한국형으로 개조·생산하여 공군에 공급하는 사업으로, 2단계에 걸쳐 총 140대가 도입 및 생산되었습니다. 페이즈 1(120대)은 1985년 계약 체결 이후 1995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삼성항공에서 생산했고, 페이즈 2(20대)는 한국 항공업계 구조조정 및 통폐합 후 탄생한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KAI)에서 2003년 6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생산하였습니다.

KFP 사업은 한국 항공산업 발전에 커다란 이정표를 찍은 중요한 사업으로 그 의미가 큽니다. KFP 사업은 완제기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과 생산, 시험평가 운용에 대한 제반 지식과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이후 KT-1, T-50 등 항공기를 독자 개발 및 생산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하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KFP 사업이 처음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82년이었습니다. 1986년 10월 삼성항공이 주계약업체로 선정되고, 여러 기종에 대한 검토 끝에 1989년 12월 F/A-18이 1차 선정되었으나, MD측에서 갑자기 단가를 2배 가까이 올려 1991년 3월 28일에 F-16C/D로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 KF-16C (후기형)
접기/펴기



KFP 사업은 페이즈 1이 종료되고 후속으로 페이즈 2 계약이 이루어졌습니다. 페이즈 1이 종료된 이후 약 1년의 시간이 흘러서 그간에 상당한 기술적 변화가 있었고 이에 대한 수용여부를 2001년 3월부터 10월까지 공군과 협의를 거쳐 1차 사업 대비 총 2881건의 기술적 변경이 더해진 최종 형상이 확정되었습니다. 1년 사이 이루어진 기술적 변화는 ASPJ(Airborne Self-Protection Jammer)라는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143건, Re-baseline ENC(1차 사업 생산종료이후 발생한 기술변경 소급 적용 건)이 164건, 그리고 기타 2574건 등이었습니다.

한국은 F-16에 AN/ALQ-165 공중 자기 보호 재머를 장착한 최초의 해외 고객입니다. ASPJ는 F-16에 통합된 네 번째 유형의 내장형 전자 대응 장비입니다. ASPJ는 레이더 체계의 추적을 무력화하거나 저하시키는 데 사용되는 최첨단 내부 전자 대응 시스템으로, 전투에서 F-16의 생존성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이 시스템은 노스롭 그루먼사와 ITT사가 공동 개발했으며 현재 미 해군, 해병대의 일부 전투기 및 여러 외국 고객의 유사 전투기 버전에 장착되어 운용되고 있습니다.

한국 공군 블록 52 F-16에 AN/ALQ-165 공중 자기 보호 재머(ASPJ)를 설치하기 위한 현대화 프로그램은 1997년 4월에 시작되었습니다. 1999년 2월 26일, 록히드 마틴 전술 항공기 체계(LMTAS)는 AN/ALQ-165 공중 자기 보호 재머(ASPJ)로 개조된 최초의 한국형 F-16을 인도했습니다. ASPJ 대응 세트를 통해 대한민국 공군의 F-16은 강력한 자체 보호 능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이 항공기는 또한 ALR-56M 레이더 경고 수신기와 ALE-47 채프/플레어 디스펜서를 갖추고 있습니다.

ASPJ와 AGM-88 HARM, 새로운 버전의 AIM-9 사이드와인더와 AIM-120 AMRAAM 등이 도입된 후기 KF-16C를 상징합니다.

  • KF-16CU
접기/펴기

F-16V 수준의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AN/APG-83 AESA 레이더와 새로운 임무 컴퓨터, 전자전 장비, 향상된 조종간, JHMCS-II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선 등이 적용되었습니다.

AIM-9X, AIM-120C, CBU-105 WCMD 등 신형 무기들이 KF-16CU에 통합되었습니다.

  • KF-21 보라매 블록 I
접기/펴기




브로슈어


KF-21은 한국 공군의 작전 능력을 유지하고 미래 전장 운용 개념을 만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전투기로서 생존성 향상, 연합/합동작전, 유지 및 군수지원 체계, 공중 우세 및 지상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춘 다목적 전투기입니다.

KF-21은 대한민국 공군이 운용 중인 노후 전투기들, 즉 F-4와 F-5를 대체하고 미래 공군 전장에 적합한 성능을 갖춘 한국형 전투기 개발을 목표로 하는 사업입니다. KF-21 사업은 개발기간이 10년 6개월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가 연구 개발 사업으로 인도네시아와 국제공동개발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KAI에 의해 양산, 한국 공군에 2026년부터 인도될 예정입니다.


D. 대한민국 공군 전투기 (중전투기)

  • F-51D-20 & F-51D-25 머스탱
접기/펴기

한국 전쟁에서, 남한은 미국으로부터 F-51(P-51이라고도 알려진)들을 공여받았지만, 제공권 확보 임무는 UN군의 최신예 기체들이 담당했으며, F-51들은 주로 지상공격 임무에 투입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머스탱과 한국전쟁 머스탱 사이에는 몇 가지 구체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 한국전쟁 버전은 지상 공격 역할에 높은 수준의 부스트가 필요하지 않았고 F-51은 전투기 역할에서 오래전에 단종되었기 때문에 67" HG 부스트에서 작동했습니다. 이 부스트는 베를린 상공에서 P-51의 일반적인 부스트 설정보다 덜 강력합니다. F-51D는 또한 M2 .50 구경 기관총을 F-80C 및 F-86A에 장착 된 것과 같은 전기 증강 M3 .50 구경 기관총으로 교체하여 화력을 높였습니다.

  • F-86D 세이버
접기/펴기

1950년대, 북한 공군이 IL-28 폭격기를 도입하면서 북한 공군은 야간폭격능력을 획득했습니다. 당시 한국 공군이 보유하고 있던 F-86F로는 야간에 침투하는 IL-28들을 상대하는것이 불가능하여 야간 전투능력을 가진 F-86D를 1961년 처음 도입하였습니다.

F-86D는 내부 무장창에 수납된 FFAR 공대공 로켓과 사통의 조합으로 적의 폭격기를 요격하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AIM-9 사이드와인더 두발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총을 전혀 장비하고 있지 않아, 전투기를 상대로 한 근접전은 불가능했습니다.

F-5와 F-4의 도입으로 F-86D는 도입한지 11년만에 조기퇴역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공군이 사용한 제트기 중 가장 짧은 운용기간이었습니다.

  • F-86F-25 세이버
접기/펴기


F-86F 세이버는 한국 공군이 1955년부터 운용하기 시작한 최초의 제트전투기입니다. Sabre의 도입으로 한국 전쟁 때부터 운용되던 Mustang을 57년까지 전량 퇴역시켰습니다.

한국 공군은 F-86F-25, F-86F-30, F-86F-40과 더불어 RF-86과 F-86D를 보유했었고, 이 기체들은 단지 전투용으로만 쓰인것은 아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현대 한국 공군의 특수비행팀인 “블랙이글스”의 선조라고 할 수 있는 “Blue Sabre” 라는 특수비행팀을 창설하는데 쓰이기도 했으며, “The Red Scarf”라는 한국전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에도 동원되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는 당시 한국 공군이 전적으로 협력하여 만들어졌으며, 영화에 등장하는 기체들은 전량 한국 공군이 당시에 보유한 기체들이었습니다.

  • F-86F-40 세이버 (초기형)
접기/펴기

1960년대에 개량을 통해 F-86D와 더불어 AIM-9 운용능력을 부여받았습니다.

  • F-86F-40 세이버 (후기형)
접기/펴기

한국 공군은 F-86을 1993년까지 운용했고, AIM-9P를 장착했습니다. AIM-9B/E/J/P는 AERO-3B 발사대를 공유하므로, 상호 호환 가능합니다.

  • F-4D 팬텀 II
접기/펴기

"피스 스펙테이터"는 1969년에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미국의 대외군사판매(FMS) 사업입니다.

한국은 미국, 이란과 함께 세계에 단 셋뿐인 F-4D 운용국이며,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F-4를 매우 일찍 도입한 편에 속합니다.

처음 한국 정부가 F-4 판매 요청을 했을 당시에는 미국의 반응은 미적지근했지만, 한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과 푸에블로 호 사건으로 상황이 빠르게 진전되었습니다. 1968년에 F-4D 18기를 임대 형식으로 처음 도입하였고, 이후 방위성금(National Defense Fund)을 모아 이 기체들 중 5대를 구매하였습니다.

1972년,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은 F-5A/B 36대를 남베트남 군사원조용으로 반환하는 대신 F-4D 18기를 추가 인도받았습니다.

프리미엄의 F-4D “NDF”는 “초기” F-4D(1975)를, 정규 라인의 F-4D는 “후기” F-4D(1990년대)를 드러냅니다.

  • F-4E 팬텀 II
접기/펴기

"피스 페산트 II"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미국의 대외군사판매(FMS) 사업입니다.

한국 공군은 1976년~1978년에 F-4E를 도입하였으며, 이후 1989년 10월 MIMEX 사업으로 미군 중고 F-4E와 RF-4C를 추가로 도입하였습니다.

무장으로는 공대공 무장으로 AIM-7M을 사용 가능하고, 공대지 무장으로 페이브웨이 계열 레이저유도폭탄과 AGM-142 팝아이, AGM-65A/B/D/G 매버릭을 운용하며, 타겟팅 포드로 AN/AVQ-23 페이브 스파이크와 AN/AVQ-26 페이브 택을 운용 가능합니다.

  • F-15K 슬램 이글
접기/펴기

한국 공군은 노후화된 F-4를 장차 4세대~4.5세대 전투기로 대체하려는 계획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들은 이 무렵 경제 위기를 겪었고, 이로 인하여 목표 수량도 120대에서 40대로 감소하였습니다. 한국의 차세대 전투기 도입 사업에 F-15E, 유로파이터 타이푼, 라팔, Su-35가 참가하였으며, 사업 진행 중 보잉은 후보를 F-15E 대신 F-15E에서 업그레이드된 F-15K를 제안하였고, 결국 이 모델이 채택되었습니다.

타이거 아이 시스템(AN/AAQ-13 LANTIRN 항법장치 포드+AN/AAQ-14 LANTIRN 타게팅 포드+AAS-42 IRST 포드)과 SLAM-ER, 하푼 블록2 등을 갖추었고, F-15K의 별명인 "Slam Eagle"은 SLAM-ER 운용능력에서 따온 것입니다.

  • F-35A Freedom Knight
접기/펴기

한국 공군은 F-35A Lightning II을 도입하면서, 자체적으로 Freedom Knight(자유의 기사)라는 별명을 붙였습니다.


E. 조선인민군 공군 전투기

  • La-7
접기/펴기

첫 항공전 승리, 국립 미합중국 공군 박물관

전쟁 발발 하루 뒤인 1950년 6월 26일 오전, 미 공군 제68전투비행대대는 서울에서 민간인을 대피시키는 노르웨이 선박 2척을 보호하기 위해 일본의 이타즈케 공군기지에서 F-82G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켰습니다. 서울-인천간 도로에서 민간인 행렬을 엄호하던 F-82 전투기 2대는 북한 조종사가 조종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소련제 La-7 전투기 2대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두 대의 F-82 전투기는 아래의 민간인들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기 위해 La-7 전투기와 교전하는 대신 구름 위로 상승했습니다.

다음 날, 북한 전투기는 이른 아침 미 공군 비행기를 공격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F-82 승무원들이 도전을 받아들여 적기 3대를 격추했습니다.

윌리엄 G. 허드슨 중령이 조종하고 칼 프레이저 중령이 레이더 운용관으로 탑승한 F-82기는 김포 비행장 상공에서 지상에 있는 전투기들이 모두 보는 가운데 야크-11을 공격했습니다. 허드슨 대위가 야크기를 향해 발포하자 프레이저 대위는 고장난 35mm 카메라로 이 장면을 촬영하려 했습니다. 한편, 북한군 La-7 전투기가 그의 F-82 전투기의 미익을 일부 손상시킨 후, 찰스 모란 중위는 이를 격추했습니다. 근처 상공에서 엄호 비행 중이던 제임스 리틀 소령도 La-7 전투기를 격추했습니다.

  • Yak-9P
접기/펴기




  • La-11
접기/펴기

  • La-9
접기/펴기


  • MiG-15
접기/펴기




동체에 폭탄을 장착할 수 있게끔 개조되었습니다.

  • MiG-15bis
접기/펴기



미코얀-구레비치 MiG-15bis, 국립 미합중국 공군 박물관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MiG-15를 개발했고 전투기는 1949년에 실전 배치되었습니다. 1952년까지 소련은 MiG-15(NATO 코드명 “Fagot”)를 북한을 포함한 여러 공산 위성 국가들에 제공했습니다. 1950년에 소련은 더 성능이 좋은 MiG-15bis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MiG-15bis는 더 강력한 엔진과 유압 부스트 에일러론을 사용했습니다. 한국 전쟁 동안 두 버전의 MiG-15는 유엔군에 대항하여 광범위하게 운용되었습니다.

탈북한 북한 조종사는 1953년 9월 21일 전시된 비행기를 남한의 김포 공군 기지로 날렸습니다. 이 비행기는 특히 MiG-15의 고급 버전이었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했습니다. 상당한 비행 테스트 후 미국은 비행기를 "정당한 소유자"에게 반환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 제안은 무시되었고 1957년 11월에 공개 전시를 위해 박물관으로 옮겨졌습니다.

전시된 MiG-15bis의 이야기, 국립 미합중국 공군 박물관
1950년 11월, 공산주의자들은 소련이 제작한 MiG-15를 전투에 도입했습니다. 진보된 디자인과 탁월한 성능은 유엔군을 놀라게 했습니다. 미국은 기술적 분석과 비행 평가를 위해 해당 기체를 획득할 수 있기를 희망했습니다. 그러나 MiG-15 조종사들은 격추될 수 있는 유엔군 영역 상공을 비행하지 않도록 매우 조심했습니다.

1953년 4월 미군 극동 사령부는 온전한 상태로 인도된 최초의 MiG-15에 대해 10만 달러의 포상금을 내걸었습니다. 어떤 적군 조종사도 이 제안에 응하지 않았고, 1953년 7월 27일 한국 휴전이 발효되었을 때 미국은 여전히 비행 테스트를 위해 MiG-15를 획득하지 못했습니다.

1953년 9월 21일, MiG-15bis(MiG-15의 개량형) 한 대가 갑자기 바람을 타고 한국 서울 근처의 김포 공군 기지에 착륙하여 그곳의 인원들을 크게 놀라게 했습니다. 이 비행기는 오래 전에 남한으로 탈출하기로 결정한 북한 공군 노금석 중위(21세)가 조종했다.

김포 공군기지에 착륙한 직후, 젊은 조종사는 10만 달러의 상금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다행이도 그는 어머니가 1951년에 북한에서 남한으로 안전하게 피신했고 그녀가 건강하게 살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MiG-15bis는 테스트 파일럿 H.E. “톰” 콜린스가 먼저 비행했습니다. 콜린스와 C.E. “척” 예거 소령은 후속 시험 비행을 했습니다. 비행기는 분해되어 1953년 12월 라이트-패터슨 공군 기지로 공수되었으며, 그곳에서 재조립되고 철저한 비행 테스트를 거쳤습니다. 그런 다음 미국은 그 미그기를 정당한 소유자에게 반환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어떤 국가도 비행기의 소유권을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1957년에 본 박물관으로 이관되었습니다.

노 중위의 요청에 따라 그와 그의 어머니는 완전하고 자유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미국에 왔습니다. 그는 케네스 로라는 이름으로 개명하고 결혼하여 미국 시민권을 얻었고 델라웨어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흥미롭게도 그의 MiG-15bis의 조준경 바로 아래에는 빨간색 한국어로 다음과 같은 구호가 적혀 있었습니다. “미국 양캐(양키)놈들에게 복쑤의 명중탄을 퍼부으라!”

  • 선양 F-5
접기/펴기

인민해방군의 J-5는 공대공미사일을 장착하지 않았고, F-5의 공대공미사일 운용 능력은 북한의 주문에 의해 추가된 것입니다. (이 시기, 중공은 J-6에 더 집중했습니다.)

  • 선양 F-6
접기/펴기

원본 J-6에 비해 동체와 양 주익에 더 많은 파일런들이 추가되었습니다.

  • 청두 F-7I
접기/펴기


중국의 J-7II와 유사하지만, J-7I와 J-7II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캐노피 형상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 MiG-21MF
접기/펴기

  • MiG-21bis
접기/펴기


조선인민군 공군의 MiG-21들은 AGP-250 글로나스 유도 활강폭탄을 사용할 수 있게끔 개량되었습니다.

  • MiG-23ML
접기/펴기

  • MiG-29 9-12B
접기/펴기

  • MiG-29 9-13
접기/펴기




MiG-29S는 MiG-29A와는 달리 주익 하부에도 보조연료탱크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이 사진의 MiG-29 또한 주익 하부에 보조연료탱크를 달고 있습니다. 콕핏이 개량되었음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MiG-29S 표준으로 개량되었다고 추측했습니다.


F. 공격기, 폭격기

  • KA-1 웅비
접기/펴기



브로슈어


훈련기인 KT-1을 기반으로 하여 forward air control and counter-insurgency role을 위해 KO-1이 개발되었고, 이후 공격임무를 강조하기 위해 KA-1로 재명명되었습니다.

KA-1(2007년 10월 KO-1에서 KA-1으로 명칭 변경) 전술통제기는 근접항공지원작전에 투입되는 전투기에 대한 효과적인 공격유도 및 통제기능 능력향상을 목적으로 O-2기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KT-1 기본훈련기를 기반으로 무장 및 화력제어 계통 및 임무컴퓨터를 장착하여 적의 침투 대비 및 전시 후방의 게릴라전 등 비정규전을 대비한 전술통제기 전력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항공기입니다.

총 4개의 파일런에 2.75인치 로켓탄 포드와 FN사에서 제작한 HMP-250 12.7mm 기관총 포드를 장비할 수 있으며, (포드 1문당 250발) CCIP, CCRP, Dive Toss, Sim. Mode, NDWS 기능을 갖추었습니다.

  • IL-10
접기/펴기


  • Tu-2S-44
접기/펴기

  • A-37B 드래곤플라이
접기/펴기

베트남전의 전훈을 기반으로 탄생한 경공격기인 A-37은, 미군의 COIN기 도입 요구에 따라 훈련기이던 T-37C를 재설계하여 만들어졌습니다.

기수에 7.62mm 미니건을 장비하였으며, 주익의 총 8개의 파일런에 무유도 폭탄과 70mm 로켓 포드, napalm bombs, cluster bombs, 그리고 20mm 건포드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 공군은 이 기체를 1976년에 20여기를 도입하였으며, 이후 T-37C 또한 39기를 추가로 도입했습니다.

이 기체는 한국 공군의 특수비행팀인 “Black Eagles”가 T-50을 수령하기 전까지 운용하던 기종이기도 합니다.

  • AT-33 슈팅 스타
접기/펴기

한국 공군에서 T-33은 1955년 세이버와 함께 한국 공군의 제트화를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F-80 슈팅스타 전투기를 복좌 훈련기로 개량한 이 훈련기는 한국 공군에서 파일럿들의 훈련을 위해 쓰이기도 했지만 1970년대부터는 대간첩 작전에 동원되기도 했습니다.

AT-33이란 이름은 1970년 6월경 T-33 훈련기를 대간첩 작전에 투입하면서 재명명되었습니다.

1990년대 BAe T-59 Hawk 훈련기가 도입되면서 전량 퇴역했습니다.

  • IL-28
접기/펴기




정확히 언제부터인지 특정할 수는 없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가치를 잃은 후방 포탑을 제거했습니다.

  • Su-7BMK
접기/펴기


  • Su-25K
접기/펴기

  • TA-50 골든 이글
접기/펴기







조종석


연료 탑재량


총 탑재 연료량 = 7700파운드(4389리터) 내부 주 연료탱크 + 1000파운드 외부 보조 연료탱크 3개
내부 연료탱크 탑재 연료량 = 7700 - 3000 = 4700 (lbs)

TA-50은 전환훈련기(Lead in Fighter Trainer)로 파일럿 훈련 중인 T-50의 고급 훈련 과정에 따라 공대공/공대지 사격 훈련 등 전장 운용에 필요한 전술 교육 및 훈련을 수행합니다. 한국 공군의 프로그램. KAI는 레이더와 다양한 무장체계를 갖춘 TA-50을 개발했습니다.

처음에는 A-50으로 알려진 전술입문기로 레이더와 무장운용이 가능한 경공격기형 기체입니다. 레이더는 애초에 미국 록히드 마틴사의 APG-67(V)4를 채택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구식화되어 이스라엘 엘타사의 EL/M-2032를 채택하였습니다. 이 레이더는 기존 APG-68에 준하는 성능을 갖는 기종으로 현재의 북한 공군 주력 전투기중 가장 많은 수량을 보유하고 있는 구형의 MiG-21을 상대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FA-50 파이팅 이글 (초기형)
접기/펴기
접기/펴기









브로슈어


조종석












FA-50 경공격기는 T-50 고등훈련기의 우수한 성능과 무장 적재 능력을 바탕으로 전술 데이터 링크, 정밀유도탄약, 자기방어 하위 체계 등을 추가 개발 및 개량한 기종입니다. 전투기급 비행 성능을 갖춘 FA-50 항공기는 2013년부터 2016년 사이에 대한민국 공군에 배치되어 운용되고 있습니다.

FA-50 경공격기는 초음속 경공격기로 주로 지상 표적을 제압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가까이 접근한 MiG-21급 전투기를 상대로 공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이며 북한 공군의 구형 전투기들에 비하면 어느 면에서도 손색이 없는 기체입니다. FA-50은 미국 국무부의 수출 승인을 받았으며 록히드 마틴사의 기술지원과 공동개발로 완성할 수 있었는데, 2014년 후반부터 본격적인 임무에 나서고 있습니다.

FA-50은 본격적인 경공격기로 의도되었습니다. 레이더의 탐지범위가 60km에서 100km로 확장되었고, RWR과 CMDS 등 생존성 확보, JDAM과 SFW 등 정밀유도무기, 전술 데이터 링크, 그리고 NVIS가 도입되었습니다.

FA-50이 TA-50에 비해 개량된 또 다른 사항은 조종석 디지털 계기판 화면이 크게 확장 설계되었다는 점입니다. 전방석 계기판 좌우측면의 다기능 시현기는 각각 2배로 확장(5인치 X 7인치)되어 기존 KF-16 전투기보다 더 큰데, 신속 정확한 판단으로 임무를 수행하게 해 줍니다. 또한 주날개와 수직꼬리날개도 TA-50보다 강화된 것으로 교체되었고, 전방 착륙장치 덮개 역시 교체되었습니다. 레이더와 냉각 덕트도 교체되었습니다.

KF-21의 사례를 따르자면, 이 버전은 "Block 0"으로 불리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FA-50 블록 I/II
접기/펴기
접기/펴기





브로슈어


조종석











"FA-50 Block 10"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이것은 언론 등에서 임의로 붙인 이름이며, KAI 브로슈어와 한국 국회 보고서에 언급된 공식적인 이름은 "FA-50 Block I"입니다.

FA-50 Block I는 스나이퍼 타게팅 포드 통합 등 대지공격능력이 강화된 버전입니다.

FA-50 Block II는 AESA 레이더와 IRIS-T, AIM-120, HMD 등 주로 공중전 성능 개량이 주된 내용이지만, KEPD 350K-2 등 지상공격 능력 또한 강화될 예정입니다.


G. 프리미엄

  • 헤스의 F-51D-30 머스탱
접기/펴기

한국 공군의 아버지들 중 하나인 딘 앨머 헤스 (Dean Elmer Hess)는 2차대전부터 한국 전쟁까지 복무한 군인입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 공군은 한국 정부의 전투기 원조 요구를 받아들여 전투기를 지원하기로 결정했고, 또한 전투기를 조종할 파일럿을 양성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가 바로 ‘바우트 원(Bout One)’입니다.

딘 헤스 대령(당시 소령)은 바우트 원 대대의 지휘관으로 한국 공군 조종사들을 훈련시켰고, 같이 출격하여 전투에 임했습니다. 이 기체는 그런 딘 헤스 대령의 애기인 18번기 “신념의 조인(信念의 鳥人)”입니다.

“신념의 조인”이라는 문구는 본래 딘 헤스 소령의 좌우명이자 2차대전중 자신의 애기에 붙였던 “Per Fidem Volo(영문으로는 I fly by faith)”의 번역문으로, 한국 전쟁 도중 딘 헤스 대령이 이 문구를 정비기장이던 최원문 대령에게 번역해 달라고 부탁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아쉽게도 이 기체는 전쟁 도중 손실되어 없어졌고, 현재는 이 기체를 재현한 레플리카 기체들만 한국의 박물관들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 KA-1S
접기/펴기







2016년 7월 19일, 세네갈 정부는 KA-1 4대를 구매하기 위해 KAI와의 계약서에 서명했습니다. 이후 2020년에 2대, 2021년 2대가 인도되었으며, 2021년 4월 6일에 열린 세네갈 공군의 수령식에 주세네갈 한국 대사가 참석했습니다.

한국 최초 아프리카 수출 항공기인 KA-1S는 세네갈의 상징인 '테랑가Teraanga의 사자’가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으로, 세네갈 공군의 요구사항들이 반영되었다고 KAI는 밝히고 있습니다.

  • 정낙현의 MiG-15bis
접기/펴기

1960년 8월, 정낙현 소위는 원산에서 비행훈련을 하던 중 이탈하여 귀순했습니다. 이는 미그기를 몰고 귀순한 두번째 사례였습니다.

그는 241번기라 적힌 MiG-15bis를 가지고 귀순하였으며, 곧 남한 시민권을 취득하고 대한민국 공군에서 중위로 복무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기체는 이전에 귀순했던 노금석씨의 기체와는 다르게 미국으로 보내지지 않았고, 이후의 다른 귀순기와 같이 적성기체 연구와 가상적기 훈련 등을 목적으로 운영되었습니다.

  • F-86F-30 세이버 (블루 세이버)
접기/펴기


대한민국 공군의 최초의 특수비행은 1953년 10월 F-51D 머스탱으로 선보인 것이었습니다. 이후 매년 서울 한강의 상공에서 다양한 에어쇼 행사가 개최될때마다 임시로 편성되었다가 해체되기를 반복하였고, 1956년부터는 일회성 편제가 아닌 T-33A "쇼 플라이트 팀"이 운영되기 시작하며 특수비행팀 항공기의 제트화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쇼 플라이트 팀은 1959년을 맞이하며 F-86F 세이버로 구성된 Blue Sabre팀에게 특수 비행 임무를 넘겨주게 됩니다.

1959년 대한민국 공군 제 10 전투비행단에서 창설한 Blue Sabre팀은 4기 편대를 기본으로 많게는 6기, 8기까지 편성되었고, 이는 10전투비행단과 11전투비행단이 교대로 운영하였습니다. 이후 1966년 상설 전문 특수 비행팀인 Black Eagles aerobatic team에게 임무를 승계하고 해체됩니다.

이 도색은 1959년도부터 1961년도까지 사용한 도색으로, 777번기 세이버는 F-86F-30이지만 주익을 F-86F-40의 주익으로 교체한 버전입니다.

  • 선양 F-5
접기/펴기

Strv 81 (Rb 52), 숏 칼 달렛, 메르카바 Mk.2D, AH-64A 페텐 등의 전례를 따라, 중국 트리에 있던 북한 소속 프리미엄 기체를 옮긴 것입니다.

  • 이웅평의 F-6
접기/펴기






이웅평(당시 대위)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귀순 조종사입니다. 이후 그는 대한민국 공군 소령으로 특별임관하여 대령까지 복무하였습니다.

이웅평 대위의 F-6는 다른 중국발, 북한발 귀순기들과 같이 가상적기 연구부대인 29전대로 이전되었습니다. 이 기체의 가장 유명한 사진은 바로 80년대 국군의 날에 촬영된, 오늘날의 여의도 공원인 여의도 비행장에서 이륙하여 국회의사당 앞을 비행하는 사진입니다.

  • F-4D “방위성금헌납기”
접기/펴기


프리미엄의 F-4D “NDF”는 “초기” F-4D(1975)를, 정규 라인의 F-4D는 “후기” F-4D(1990년대)를 드러냅니다.

F-4D “NDF”는 한국공군용으로 새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미군이 사용하던 중고 기체이기 때문에 미 공군의 핵투발용 장비가 미 공군 소속의 엔지니어들이 제거하기 전까지 몇 년 동안 그대로 남아있었다는 루머가 있습니다.

  • 청두 J-7I
접기/펴기



J-7I는 J-7 시리즈의 초기형 버전으로, 인게임에 등장하는 J-7II보다 앞선 버전입니다. 이 기체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시험비행단 소속 손천근(孫天勤)씨가 타고 귀순하였는데, 1983년 귀순 당시에는 막 생산하기 시작한 기체로 소수밖에 없던 최신 기체였습니다.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파일럿 손천근씨는 본인의 의사에 따라 중화민국(대만)으로 보내주었고, 한편 기체는 29전대로 보내져 대한민국 공군의 도색을 하고 운용되었습니다.

  • MiG-21PFM “4.15”
접기/펴기

1969년 4월 15일, 신호정찰 임무를 수행하던 미 해군 록히드 EC-121M 워닝 스타 한 기가 동해 상공에서 북한 미그-21PFM 한 쌍에 의해 격추되었습니다. 이 비행기는 북한 영해에서 90해리(167km) 떨어진 북한 해안에서 추락했습니다.

격추작전에 동원된 북한 공군 제1항공사단은 이 사건으로 ‘근위’ 칭호를 수여받아 근위대로 승격되었으며, 1항공사단 소속 MiG-21 2대는 이 공로로 ‘415 전투기’ 라는 이름을 부여받게 되었습니다.

  • TA-50i
접기/펴기


2011년 5월 25일, T-50i 12대와 TA-50i 4대 구매 계약이 체결되어, 2013년 9월 11일부터 필리핀 공군에 인도되기 시작하였습니다. 2018년 11월 8일에는 기존 T-50i 도입분에 레이더와 기관포를 장착하여 TA-50i 사양으로 개조하는 계약이 체결되었고, 2021년 7월 16일에는 T-50i 6대를 추가 구매하였습니다.

  • FA-50PH
접기/펴기



2014년 3월 28일, 필리핀 정부는 FA-50 경공격기 구매 계약서에 서명했습니다. 총 수출 규모는 항공기 12대로 정부 간 계약(G to G) 방식으로 계약이 체결되었습니다. FA-50PH는 FA-50 형상을 기반으로 필리핀의 요구조건에 맞춘 형상으로 개발하기 위해 2014년 8월 27일 설계검토회의가 착수되었습니다. 이후 2015년 6월 2일 안전검토심의회(SRB)를 통해 개발 비행시험 준비상태를 점검하였습니다. 2015년 6월 19일 FA-50PH의 초도 개발비행이 수행되었고 2016년 9월 5일에는 형식인증서를 발급받아 필리핀 수출기의 안정성을 입증하였습니다.

2015년 11월 28일에 필리핀 공군에 기체가 인도되었고, 1개 대대를 구성했습니다. 이후 2016년 12월 26일, FA-50PH 2대가 필리핀 남부에서 반군을 목표로 폭격 임무에 투입된 것을 시작으로, 마라위 포위전에서도 대지공격임무를 맡아 테러리스트들에게 점령된 도시를 해방시키는 것을 돕는 등, FA-50의 첫 실전 기록을 세웠습니다.

FA-50PH 주요개조사항으로는 TACAN 추가, 공대공·공대해 무장조합 추가, HUD, SMFD 등 일부 탑재장비 업체 변경 등이 있습니다.

  • F-16C 피스 브릿지 업그레이드
접기/펴기

2016년부터 F-16PB (블록 32) 기체들은 블록 52 표준으로 개수되었습니다. 이 개수작업을 받은 기체들은 F-16PBU(피스 브릿지 업그레이드)라고 불립니다.

2016년부터 블록 32 사양의 F-16PB 기체들을 블록 52에 준하는 사양으로 개량하였다. 이를 F-16PBU라고 부른다.

F-16C/D 블록 32는 중거리 대공 미사일(AIM-120 암람)을 사용할 수 없는 등 능력 부족이 지적되어 왔다. 연식이 오래된 기체이기 때문에 추가 개량없이 퇴역시키리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AIM-120 AMRAAM, JDAM, AGM-88 Harm, AGM-84 Harpoon 운용능력이 부여되는 등 F-16 블록 50/52에 준하는 개량이 이루어졌다. 이뿐만 아니라 AN/APG-68(v)7 레이더, IFF, Link-16 TDL, ALQ-88/200K 탑재, 기골 보강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 F-20 타이거샤크
접기/펴기

Crash at Suwon Airbase in South Korea demonstration flight (October 10, 1984)

https://youtu.be/JWtpdsfwq3w

1968년 미 공군에 충격을 준 소련의 MiG-23과 MiG-25, 그리고 Su-15의 등장은 결국 미국의 F-15 전투기와 F-14 전투기 개발을 초래했지만, 미국의 2급 우방국들은 미국의 대외정책상 이러한 고성능 전투기를 도입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F-5를 개발한 노스롭 사는 F-5를 운용하고 있는 국가들의 공군을 대상으로 신형 미그 전투기들을 성능적으로 압도할 수 있는 F-5 개량 계획에 착수했습니다.

F-5X라 명명된 이 계획에서 노스롭 사는 단발과 쌍발을 포함한 25가지 형상을 1974년부터 검토하고, 1977년에 F-4 팬텀 전투기에 사용됐던 J79 엔진을 탑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J79는 엔진 중량만 1톤이 넘었고, 대만이 요구한 조건을 맞추기에 성능이 부족했습니다. 노스롭 사는 맥도넬 더글라스 사와 공동개발한 F/A-18 전투기용 F404 엔진을 F-5X에 탑재하기로 1978년 6월에 결정하고, 이 계획안의 항공기를 F-5G로 명명해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엔진 교체로 인해 F-5G의 추력은 기존형 F-5E에 비해 1.6배 증가한 반면 연료 소비량은 오히려 9% 감소해 기동성과 전투행동반경, 무장탑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긴급출격 경보 후 52초 만에 브레이크를 풀고 활주로를 이륙하는 경전투기 특유의 스크램블 성능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F-5G의 미래는 장밋빛으로 보였습니다.

노스롭 사는 1980년 1월 1일부터 독자적으로 F-5G의 개발을 시작했고, 1981년부터 1호기 제작에 착수했습니다. 하지만 복병이 등장했습니다. 미 공군의 수출형전투기(IIF) 프로그램에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가 F-16에 J79 엔진을 탑재한 다운그레이드형 F-16/79 모델을 제시한 것이었습니다.

뜻하지 않은 경쟁자와 함께 F-5G가 맞이하게 된 최대의 고비는 새로이 출범한 레이건 행정부가 대만에 무기 수출을 중단한다는 결정이었습니다. 당시 대만은 F-5G 개발의 주요 수요자로 기대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결정으로 인해 노스롭 사는 F-5G의 판로가 막혀 버림과 동시에 회수하지 못한 개발비를 고스란히 부담해야 하는 난처한 상황에 빠지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노스롭 사는 해외수출에서 F-16/79와 동등하게 경쟁하기 위해 F-5G의 명칭 변경을 고려하게 됩니다. F-5G라는 명칭은 노스롭 사가 이 기체가 단순히 구식 기체인 F-5의 개량형일 뿐인 것처럼 행세하여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명칭이었기 때문에, 대만 판매가 좌절된 이상 F-5라는 후줄근한 명칭을 고집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노스롭 사는 1982년 11월 일련번호 19번을 건너뛰고 F-20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미 공군으로부터 부여받고 본격적인 판매활동에 나섰습니다.

F-20은 시계 외(BVR) 교전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레이더를 AN/APG-67로 변경했습니다. 중거리 미사일로는 AIM-7F 스패로우를 2발 탑재하고, 정밀유도무기와 공대함 미사일 운용 능력까지 갖춰 중소국의 주력 전투기로 운용하는 데 손색이 없도록 했습니다. 노스롭 사는 대만과 더불어 F-20 판매 대상국으로 한국을 주목했습니다.

Northrop은 한국에 F-20의 판매를 추진했습니다. 1984년, 한국 훈타 정권의 전두환 대통령이 참관한 시험비행 도중 조종사가 G-LOC에 빠진 이후 기체가 실속 상태에 빠져 추락하고 조종사도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위기에 빠졌습니다. 이듬해 캐나다에서도 시험비행 중 같은 원인으로 인한 추락으로 조종사가 사망하고, 노스롭이 고용한 한국인 로비스트가 암으로 급사하면서 한국에서의 F-20 판촉은 추진 동력을 잃어버린 채 표류했습니다. 이후 레이건 행정부가 무기 수출 정책을 변경한 것은 F-20의 실낱같은 숨통에 마지막 치명타를 가했고, F-20은 한국뿐만 아니라 그 어떤 국가에도 도입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국가에도 도입되지 않은 이 비운의 전투기가 가장 판매에 근접했던 곳이 한국이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 FA-50GF
접기/펴기


폴란드 정부는 48대의 FA-50 계약에 서명했습니다. 폴란드는 12대의 FA-50(Block I 사양, 추후 Block II 사양으로 개수 예정)을 2023년 6월 이내에 인수하고, 추후 36대의 FA-50(Block II 사양)을 인도받을 예정입니다.

폴란드 수출용 FA-50은 현재 KAI의 조립라인에서 TA-50 블록 II를 폴란드 공군의 요구사항에 맞게 조정하여 12대의 FA-50GF로 개조한 버전과 폴란드 공군의 작전요구성능(ROC)에 따라서 36대의 FA-50PL로 개조한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1단계에서 도입한 12대의 FA-50은 최대한 빨리 인도해 달라는 폴란드의 요구에 따라 '갭 필러’의 약자를 따서 FA-50GF로 명명되었습니다.

KAI에 따르면 FA-50GF는 주요 기능과 무장 능력은 TA-50 블록 II와 유사하지만, 기존 위성항법장치(GPS)에 상용 내장형 위성항법장치(EGI)를 장착한 것이 차이점입니다.

2단계로 예정된 FA-50PL 36대에는 폴란드가 요청한 공중급유, 능동전자식위상배열(AESA) 레이더, 300갤런 외부 연료탱크(EFT),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등 향상된 기능과 전자 장비가 장착됩니다. 무장 면에서는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의 최신 버전인 AIM-9X와 함께 표적조준포드(TGP), 레이저 유도폭탄 GBU-12 등 공대지 능력도 갖췄습니다.

FA-50GF는 2023년 8월 초도 2대를 시작으로 12월까지 연내 인도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FA-50PL은 2025년 11월 첫 2대를 시작으로 2028년 9월 인도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에는 최종 인도 후 2년의 보증기간이 부여됩니다.

이창재 KAI 폴란드 해외협력팀장은 "FA-50 전투기는 개발 초기부터 ‘진화적 개발’ 개념이 적용됐습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 성능과 체계개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외 고객들의 높은 성능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습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KAI는 FA-50GF와 FA-50PL의 성공적인 폴란드 수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3. 탄약

풍산의 카탈로그 중 일부 (20mm 항공탄약)



대한민국 공군의 홍보책자





무장/사격 사진들
F-51D 머스탱


F-86D 세이버


F-86F 세이버



F-4D 팬텀 II












F-4E 팬텀 II




F-5A 프리덤 파이터



F-5E 타이거 II



KF-5E 제공호

F-16C 피스 브릿지



KF-16C


F-15K 슬램 이글


TA-50 골든 이글








FA-50 파이팅 이글






MiG-21MF

MiG-29



Su-25K





4. 시청각 자료

A. 프로필 아바타


공군준장 김영환(金英煥)
1921년 1월 8일 - 1954년 3월 5일

접기/펴기

한국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8월은 한국 공군 1전투비행단(1951년 8월 1일부로 공군비행단에서 개편)이 지리산 공비토벌작전 항공지원을 하던 시기였습니다.

당시 지리산에는 북한군 패잔병 9500여 명이 경상도와 전라도의 인접 지역까지 세력을 확대해 약탈과 방화를 일삼으며 치안을 어지럽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리산지구 경찰전투사령부의 요청을 받은 한국 공군은 미 공군의 지원 없이 단독으로 공비토벌작전을 벌이게 됐습니다. 8월 17일부터 시작된 이 작전의 지휘관은 1전투비행단 비행전대장인 김영환 대령이었습니다.

8월의 끝물인 어느 날, 김영환 대령은 지리산 동쪽 합천 가야산 쪽에서 공비가 출몰했다는 연락을 받고 사천기지에서 출격했습니다. 편대장이 돼 F-51 전투기를 직접 지휘했습니다. 그런데 김영환 대령은 공비들이 몰려든 장소를 확인한 순간 고민에 빠져야 했습니다. 폭탄을 투하해야 할 공격지점이 바로 해안사 경내였던 것이었습니다.

먼저 미군 정찰기가 연막탄을 해인사 경내에 떨어뜨렸습니다. 이제 네이팜탄 등 폭탄 몇 개만 떨어뜨리면 천년 고찰 해인사는 잿더미가 될 판이었습니다. "공격을 수행하라"는 상부의 독촉과 "적들이 해인사로 몰려오고 있다"는 부하 조종사의 긴박한 외침이 교차했습니다. 그러나 편대장 김영환의 최종 결정은 "공격하지 말라"는 단호한 폭격 거부였습니다. 그렇게 그는 명령 불복종 처벌을 감수하면서 국보인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지켰습니다.

전사에 의하면 지리산 공비토벌작전(51년 8월 17일~9월 18일) 동안 공군 1전투비행단은 공비 558명을 사살하고 은신처 192곳과 건물 39동을 파괴하는 등의 전과를 올렸습니다. 그러나 이 작전의 핵심 지휘관이었던 김영환 대령은 명령 불복종으로 상부에 시달려야 했고, 끝내 진급하지 못했습니다. 그는 전쟁이 끝난 1954년 비행사고로 사망함으로써 사후에 장군(추서 계급)이 됐습니다.

그가 보존한 해인사 장경판전은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은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지키기 위해 싸운다는 그의 신념이 없었다면 이 모든 것은 한 줌 잿더미가 되어 잊혀졌을 것입니다.

오늘날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들이 착용하는 '빨간 마후라’에 대해서는 세 가지 설이 있지만 모두 그와 관련이 있습니다. 한 가지 설은 추락한 아군 조종사를 찾기 위한 수색 계획을 논의하던 중 눈에 띄는 붉은색이 떠올랐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설은 그의 형의 아내가 치마를 만들려던 빨간 천을 보고 조종사 제복과 잘 어울릴 것 같다며 스카프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설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빨간 전투기로 큰 활약을 펼친 만프레드 폰 리히트호펜을 존경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세 가지 중 어느 것이 사실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대한민국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의 상징이 된 '빨간 마후라’는 신상옥 감독의 영화와 주제곡으로 더욱 유명해졌습니다.

https://youtu.be/7e4g10WcGcs


공군대령 이웅평(李雄平)
1954년 9월 28일 - 2002년 5월 4일

접기/펴기

이웅평은 많은 탈북 조종사들 중 가장 유명한 인물입니다.

이웅평은 김책공군대학을 졸업한 후 조선인민군 제1항공사단에서 조종사로 복무했습니다. 1983년 2월 25일, 조선인민군 공군 상위 계급으로 임관했습니다.

라디오로 남한 방송을 몰래 듣던 그는 북한 체제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되었습니다. 당시 남한도 군사 독재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남한보다 훨씬 더 폭압적인 독재 체제인 북한 체제에 환멸을 느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내가 살 곳은 공화국이 아니다. 인민을 진정으로 배려해주는 남조선으로 가야겠다. 내가 믿고 따른 수령이 나를 배신했으니, 내가 수령을 배신해도 죄가 될 것이 없다.'라고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비행 도중 기수를 남쪽으로 돌렸습니다.

그는 F-6 전투기(당시 남한 매체에서 MiG-19로 알려짐)를 타고 남한으로 날아갔습니다. 10시 30분 평안남도 개천비행장에서 로켓 사격 훈련을 위해 이륙한 미그기는 갑자기 편대를 이탈해 남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항로를 이탈한 F-6는 레이더망을 피하기 위해 50~100m의 고도를 유지한 채 시속 920㎞로 전속력으로 남하해 10시 45분께 황해남도 해주 상공을 지나 연평도 상공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었습니다. 당시 '팀 스피리트’훈련을 실시 중이던 남한 방공망에 미그기가 탐지되자 한국 공군의 F-5 전투기가 요격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F-6는 날개를 흔들며 귀순 의사를 밝혔고, F-5는 F-6을 유도해 11시 4분에 수원비행장에 착륙했습니다.

탈북 3개월 후인 1983년 5월, 대한민국 공군 소령으로 군복을 갈아입은 그는 1984년 11월 2일 공군대학 교수의 딸과 결혼해 1남 1녀를 두었습니다. 이후 대한민국 공군에서 계속 복무하다 1995년 공군 대령으로 진급했으며, 이후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에서 정책연구관 및 교관으로 근무했습니다.


공군중령 박지연(朴??)
1979? -

접기/펴기

박지연 중령은 최초의 여성 공사 생도, 최초의 여성 전투기 조종사, 최초의 전투기 조종사 부부, 최초의 국군의 날 축하 비행에 참가한 여성 조종사, 최초의 여성 전투기 편대장, 최초의 여성 전투기 대대장을 역임하는 등 대한민국 공군에서 여섯 번의 첫 업적을 이룬 인물입니다. 그녀는 대한민국 공군 최초의 여성 역사를 써내려가며 기록을 세우고 있는 진취적인 인물입니다.

1997년 공군사관학교에 첫 여성 생도로 입학해 2001년 비행훈련을 받고 2002년 고등비행교육과정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에는 대한민국 공군 최초의 여성 전투기 조종사가 되었습니다. 그 후 F-5 전투기를 조종했습니다. 2007년에는 최초의 여성 전투기 편대장, 2012년에는 신참 조종사를 양성하는 고등비행교육과정의 교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2017년에는 최초의 여성 전투기 대대장으로 임명되어 다양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2019년의 언론 보도에 따르면 박 중령의 주 기종은 FA-50이며, 총 비행 시간은 1800시간에 달하고 있습니다.


B. 라운델

대한민국 공군 라운델, 옛 버전(1949년~) → 현 버전(2005년 4월~)

ROK Army Aviation/Naval Aviation/Air Force(helicopters)

ROK Army Aviation/Naval Aviation/Air Force roundel, low visibility

KPAAF roundel


C. 부대마크

공군공중전투사령부 Air Combat Command

제1전투비행단 1st Fighter Wing

제8전투비행단 8th Fighter Wing

제10전투비행단 10th Fighter Wing

제11전투비행단 11th Fighter Wing

제16전투비행단 16th Fighter Wing

제17전투비행단 17th Fighter Wing

제18전투비행단 18th Fighter Wing

제19전투비행단 19th Fighter Wing

제20전투비행단 20th Fighter Wing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29th Tactical Fighter Weapons Group

제38전투비행전대 38th Fighter Group

일부 전투비행대대들(F-5 운용 시기)

블루세이버팀 Blue Sabre Acrobatic Team

제53특수비행전대 "블랙이글스" 53rd Air Demonstration Group "Black Eagles"


D. 데칼

한국을 의미하는 "K", F-51D에 그려진 한국 전쟁 도중의 사진.

김두만의 F-51 머스탱


김두만 대장(당시 계급은 소령)의 F-51 머스탱, 100회 출격 기념, 한국 전쟁 도중의 사진.

딘 헤스를 위한 특별 데칼, 1951년.

대한공군, F-86D.

정예공군, F-86F.

완벽한영공방위, F-86F.

정찰선비, RF-4C.

사자, F-4D.

쌍호랑이, F-5E.

블랙 이글스

검독수리, T-50.

대한민국공군 70주년 기념, 블랙 이글스, T-50s.

조선인민군 공군 데칼


Left: 로력영웅
Right: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



E. 도색

F-51D red nose

F-51D yellow nose

F-86D metal

F-86D 108th interceptor-fighter squadron


F-86D bicolor

F-86F metal

F-86F tricolor


F-86F yellow line

F-86F Blue Sabre (1959)

F-86F Blue Sabre (1962)


Blue Sabre (1959-1966)

F-4D tricolor

F-4D gray


F-4E tricolor


F-4E gray







F-5A metal


F-5A tricolor


F-5A Black Eagles


F-5E gray

F-5E tricolor

KF-5F first prototype (Semihistorical painting for KF-5E)




Shenyang F-5

MiG-21MF

MiG-21bis

MiG-23ML

MiG-29 monocolor green

MiG-29 bicolor gray

MiG-29 LED





Su-25K bicolor green camo

Su-25K bicolor gray camo


Jeong's MiG-15bis


Lee's Shenyang F-6

Shenyang F-6 and Chungdu J-7I





MiG-21PFM

KT-1 (Semihistorical painting for KA-1)

KA-1


KA-1S


T-50 (Semihistorical painting for TA-50)

T-50B (Semihistorical painting for TA-50)

T-50B Black Eagles ROKAF 70th anniversary (Semihistorical painting for TA-50)

TA-50

T-50i airshow painting (Semihistorical painting for TA-50i)

FA-50

T-50A (Semihistorical painting for FA-50)


F. 훈장

무공훈장 Order of Military Merit

접기/펴기
태극무공훈장 Order of Military Merit 1st class "Taegeuk"



  • Players defeated: 20000
  • Name from Taegeuk
을지무공훈장 Order of Military Merit 2nd class "Eulji"



충무무공훈장 Order of Military Merit 3rd class "Chungmu"



화랑무공훈장 Order of Military Merit 4th class "Hwarang"



  • Players defeated: 5000
  • Name from Hwarang
인헌무공훈장 Order of Military Merit 5th class "Inheon"



표창 Citation

접기/펴기
국방부장관 표창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Citation

  • Missions won: 10000
  • Battle activity, not less: 60%
합참의장 표장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Staff Citation

  • Missions won: 5000
  • Battle activity, not less: 60%
육/해/공군참모총장 표창 Chief of Staff of the Army/Navy/Air Force Citation



  • Missions won: 3000(Ground/Naval/Air)
  • Battle activity, not less: 60%

참전기장 Participation in War Medal

접기/펴기
6.25 참전기장 Korean War Medal

  • Missions won: 500
  • Locations: Korea, 38th Parallel
  • Battle activity, not less: 60%
월남 참전기장 Vietnam War Medal

  • Missions won: 500
  • Locations: Vietnam(Ground), Vietnam(Air)
  • Battle activity, not less: 60%

건군기념기장 Armed Forces Foundation Anniversary Commemoration Medal

접기/펴기
건군 제10주년 기념기장 Armed Forces Foundation 10 Anniversary Commemoration Medal


  • Ranks unlocked: 4
  • Vehicles rank: IV
  • Player’s country: Korea
건군 제20주년 기념기장 Armed Forces Foundation 20 Anniversary Commemoration Medal


  • Ranks unlocked: 5
  • Vehicles rank: V
  • Player’s country: Korea
건군 제30주년 기념기장 Armed Forces Foundation 30 Anniversary Commemoration Medal



  • Ranks unlocked: 6
  • Vehicles rank: VI
  • Player’s country: Korea
건군 제40주년 기념기장 Armed Forces Foundation 40 Anniversary Commemoration Medal


  • Ranks unlocked: 7
  • Vehicles rank: VII
  • Player’s country: Korea
건군 제50주년 기념기장 Armed Forces Foundation 50 Anniversary Commemoration Medal


  • Ranks unlocked: 8
  • Vehicles rank: VIII
  • Player’s country: Korea

장기근속 기념기장 Long Term Service Medal

접기/펴기
10년 근속 기념기장 10 Years Service Medal

  • Missions played: 2000
20년 근속 기념기장 20 Years Service Medal

  • Missions played: 5000
30년 근속 기념기장 30 Years Service Medal

  • Missions played: 10000

4 Likes

5. 참고자료
이 글에 사용된 모든 참고자료들은 기밀 자료가 아니며, 공개된 출처를 사용하였습니다.

접기/펴기

대한민국 국회 National Assembly
https://www.assembly.go.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Government Briefing Service
https://www.korea.kr/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https://www.archives.go.kr/

국민신문고 National Civil Service
https://www.epeople.go.kr/

국방과학연구소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http://www.add.re.kr/

국방기술품질원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https://www.dtaq.re.kr/

국방부 Ministry of Defense
https://www.mnd.go.kr/

방위사업청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http://www.dapa.go.kr/

합동참모본부 Joint Chiefs of Staff
https://www.jcs.mil.kr/

대한민국공군 Republic of Korea Air Force
https://rokaf.airforce.mil.kr/

국방홍보원 Defense Media Agency
http://www.dema.mil.kr/

국방일보 Daily Defense (Affiliated agency of DeMA)
http://kookbang.dema.mil.kr/

국가법령정보센터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https://www.law.go.kr/

공공누리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https://www.kogl.or.kr/

대한민국역사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https://www.much.go.kr/

화폐박물관 Currency Museum
https://museum.komsco.com/

한국근현대영상아카이브 Korea Modern Video Archive
http://kfilm.khistory.org/

e영상역사관 e-Video History
https://www.ehistory.go.kr/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Naver News Library
https://newslibrary.naver.com/

한국항공우주주식회사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https://www.koreaaero.com/

한화시스템 Hanwha Systems Co., Ltd.
https://www.hanwhasystems.com/

LIG넥스원 LIG Nex1 Co., Ltd.
https://www.lignex1.com/

단행본, 논문, 학술지(정기간행물), 보고서, 교범, 교본 등
  • 국사편찬위원회. (2006). 6·25 전쟁, 문서와 자료, 1950 ~ 53년. pp.643-644.
  • 하보철 외. (2014). 1129일간의 전쟁 6·25, 육군군사연구소.
  • Разуваев, В. Н. (2001).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Vol. 1) (역). 군사편찬연구소.
  • Разуваев, В. Н. (2001).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Vol. 3) (역). 군사편찬연구소.
  • 강태호 외. (2003). 라주바예프의 6·25 전쟁보고서의 타당성 검증, 육군교육사령부.
  • 김광수. (2010). 인천상륙작전과 북한군의 대응. 군사연구, 130, 69-120.
  • 김선호. (2013). 한국전쟁 직전 북한공군의 실제전력 연구 -비행사단의 병력과 무기 현황을 중심으로 -. 군사, 89, 161-195.
  • 이신재. (2013). 6·25전쟁기 북한공군의 성장과정 고찰. 군사, 89, 197-232.
  • 안존. (2020). 한국전쟁 초기 북한 항공기의 공력성능과 운용에 대한 고찰.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7, 488–489.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0). 미 극동군사령부 연합군번역통역국(ATIS) 노획문서 시리즈1, (Enemy documents, North Korean forces. Book 1).
  • Futrell, R, F. (2021). 6·25 전쟁 미공군 항공전사 (역). 공군본부.
  • 전쟁기념관. (2013). 역사가 된 현대무기: 전쟁기념관 옥외전시장 대형전시물. 전쟁기념관.
  • 김재환, 최경희, 정기현. (2010). 결함위치추정 기법을 이용한 공대지 항공무장의 오류 요인 분석.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13(4), 551-560.
  • 월간항공 출판기획팀. KT-1 프로젝트 (개정증보판), 2006. 와스코.
  • 유승용 & 박완근. (2011). ROKAF Colors (Vol. 1). 와스코.
  • 이원익. (2020). 대한민국 공군 F-5: Sky Guardian Tiger. 와스코.
  • 황재연 & 박재석. (2022). KF21 보라매 전투기. ADBC.
  • 「KF-16 항공기 SW 개조사업 비용분석(국외연구부문)」 결과보고서. (n.d.). 정책연구관리시스템 PRISM. https://www.prism.go.kr/homepage/entire/researchDetail.do?menuNo=I0000003&gubun=organtheme&researchId=1290000-200500017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20년사 편찬위원회. (2019). 항공우주를 향한 꿈과 도전: 한국항공우주산업(주) 20년사 (역사편).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s://www.koreaaero.com/KO/20th_article/history/index.html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20년사 편찬위원회. (2019). 항공우주를 향한 꿈과 도전: 한국항공우주산업(주) 20년사 (화보편).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s://www.koreaaero.com/KO/20th_article/pictorial/index.html
  • 김득환. (2006). T-50 Application in an Interdependent Warfighting Environment. 방위사업청.
  • 魏钢, 陈应明, 张维. (2011). 中国飞机全书 (Vol. 3). 航空工业出版社.
  • Appleman, R, E. (1992).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 Dildy & Thompson. (2013). F-86 Sabre vs MiG-15: Korea 1950–53. Bloomsbury Publishing.
  • Clough, R, N. (2019). Embattled Korea: The Rivalry For International Support. Routledge.
  • Hutchinson, H, A. (2020). The F-16 Fighting Falcon Multinational Weapon System, 1972 to 2019. Xlibris Corporation
  • AN 01-60JE-1 Flight Handbook F-51D. (n.d.). Avialogs. https://www.avialogs.com/aircraft-n/north-american-aviation/item/4860-an-01-60je-1-flight-handbook-f-51d
  • Republic of Korea – F-16 Block 32 Aircraft Upgrades. (2009).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rok_09-23.pdf
  • Republic of Korea – AIM-9X SIDEWINDER Missiles. (2009).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rok_09-52.pdf
  • Republic of Korea (ROK) – Support for the KF-16 Upgrade (Phase 1). (2013).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korea_13-62_0.pdf
  • Republic of Korea (ROK) – KF-16 Upgrade Program. (2015).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korea_15-33.pdf
  • Republic of Korea – AGM-65G-2 Maverick Missiles. (2017).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korea_16-83.pdf
  • Korea – AIM-120C Advanced Medium Range Air-to-Air Missile (AMRAAM). (2019).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korea_19-51.pdf
  • Korea – F-16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IFF) & Link 16 Upgrades. (2020).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korea_20-15_cn.pdf
  • Republic of Korea – AIM-9X Block II Tactical Sidewinder Missiles. (2020).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sites/default/files/mas/Korea_20-60.pdf
브리핑, 다큐멘터리, 인터뷰, 영화, 발표 등 영상 자료
  • 신상옥 (감독). (1964). 빨간 마후라 [영화]. 신필림, 한국영상자료원. https://youtu.be/7e4g10WcGcs
  • North Korean MIG-15 Pilot to South Korea. (n.d.). 한국근현대영상아카이브. http://kfilm.khistory.org/?mod=episode&&iframe=Y&MOVIE_EPISODE_ID=26803
  • T-33 제트기 인수. (n.d.). 한국근현대영상아카이브. http://kfilm.khistory.org/?mod=episode&&iframe=Y&MOVIE_EPISODE_ID=24192
  • KBS 다큐. (2020년 10월 19일). 대한민국 최초의 공군 전투기 F-51 원로 조종사들이 기억하는 6.25 한국전쟁 | “한반도 창공을 누빈 한국의 영웅, 무스탕” (KBS 150627 방송)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NeBXBkLY_U
  • KTV 대한늬우스. (2016년 10월 18일). 대한뉴스 제 121호-젯트기 인수식 [영상]. Youtube. https://youtu.be/SdS_co9gF0M
  • KTV 대한늬우스. (2016년 10월 13일). 대한뉴스 제 289호-국군 소식 [영상]. Youtube. https://youtu.be/yX-HMxlpI44
  • KTV 대한늬우스. (2016년 10월 14일). 대한뉴스 제 275호-자유 찾아 월남한 괴뢰 미그 젯트기 [영상]. Youtube. https://youtu.be/0mqIdsslL78
  • KTV 대한늬우스. (2016년 12월 8일). 대한뉴스 제 1061호-방위성금 헌납식 [영상]. Youtube. https://youtu.be/XyWk6VQzmT8
  • 제 5회 국군의 날. (n.d.). e영상역사관. https://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10459
  •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018년 6월 26일). KT-1 [영상]. https://youtu.be/VDv0KqV3nWs
  •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018년 6월 26일). KT-1 KA-1 [영상]. https://youtu.be/mzIM-uvyzyM
  • 방위사업청. (2020년 9월 4일). ‘TA-50 Block2’ 스토리_전술입문용훈련기로 더 높이 날아오르다! [웨폰스토리] [영상]. Youtube. https://youtu.be/EBQLiGR5wPk
  • 방위사업청. (2019년 1월 10일).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제204회 KA-1 전술통제기 개발사 1부 [영상]. Youtube. https://youtu.be/9034XiVNFAs
  • 방위사업청. (2019년 8월 23일).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제222회 제공호 사업 [영상]. Youtube. https://youtu.be/T605IY_54t8
  • 방위사업청. (2020년 9월 15일).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제286회 한국형 공격기 FA-50 수출사 [영상]. Youtube. https://youtu.be/MMr5tULcJnE
  • 방위사업청. (2020년 9월 15일).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제287회 공격 성공률 100% - FA-50의 실전위력 [영상]. Youtube. https://youtu.be/4Gg2BFX98nU
  • 방위사업청. (2020년 9월 16일).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제290회 공격기를 넘어 진화한다. “FA-50” [영상]. Youtube. https://youtu.be/y-iuPjPAGlw
  • 방위사업청. (2020년 11월 2일).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제300회 전천후 유도폭탄키트 KGGB 개발사 [영상]. Youtube. https://youtu.be/F5E-fMDViog
  • 대한민국공군. (2013년 12월 4일). [공군기종 백과사전] F-15K Slam Eagle "동북아 최강전투기’ [영상]. Youtube. https://youtu.be/TIy16C48diE
  • 대한민국공군. (2013년 12월 18일). [공군기종 백과사전] KF-16 Fighting Falcon [영상]. Youtube. https://youtu.be/qiCX6tGPmR8
  • 대한민국공군. (2014년 1월 16일). [공군기종 백과사전] F-4E Phantom ‘하늘의 도깨비’ [영상]. Youtube. https://youtu.be/namicFshR-A
  • 대한민국공군. (2015년 5월 1일). [100인의 공군] 9화. F-15K 무장정비사 [영상]. Youtube. https://youtu.be/hJioJVBmav8
  • 대한민국공군. (2015년 9월 11일). 대한민국 공군 미공개 x파일_제1탄 GBU-39 SDB 실무장 사격 영상 [영상]. Youtube. https://youtu.be/cNQjY50IJJw
  • 대한민국공군. (2015년 11월 16일). 대한민국 공군 미공개 X파일_제2탄 KGGB 실무장 사격 영상 [영상]. Youtube. https://youtu.be/E-DFYKeucR4
  • 대한민국공군. (2015년 11월 27일). 대한민국 공군 미공개 X파일_제3탄 AGM-142 실무장 사격 영상 [영상]. Youtube. https://youtu.be/CUpa8vaOn5M
  • 대한민국공군. (2016년 3월 16일). [A-Force 으뜸공군!] #1 SLAM-ER [영상]. Youtube. https://youtu.be/uxHrnOi-HeU
  • 대한민국공군. (2016년 4월 26일). [A-Force 으뜸공군!] #2 GBU-28 [영상]. Youtube. https://youtu.be/2WqKsVsOdns
  • 대한민국공군. (2016년 6월 10일). [A-Force 으뜸공군!] #3.JDAM [영상]. Youtube. https://youtu.be/3KncsG8ZME8
  • 대한민국공군. (2016년 9월 23일). [A-Force 으뜸공군!] #4. AIM-9X [영상]. Youtube. https://youtu.be/w-4mh9h4ysQ
  • 대한민국공군. (2017년 3월 2일). [A-Force 으뜸공군!] #5. KGGB편 [영상]. Youtube. https://youtu.be/DhU3ZRKXxf8
  • 대한민국공군. (2017년 5월 26일). [A-Force 으뜸공군!] #6. TAURUS편 [영상]. Youtube. https://youtu.be/qHxnpj7sTqc
  • 대한민국공군. (2017년 9월 4일). 대한민국 공군 F-15K SLAM-ER 실사격 훈련 [영상]. Youtube. https://youtu.be/ZF9JPdSvqR0
  • rider eye-Aviation&Military. (2018년 4월 21일). 대한민국 공군 10전투비행단 F-4E 팬텀/ROKAF F-4E PhantomII[ridereye] [영상]. Youtube. https://youtu.be/v2TMEDiFM0U
  • 프로파일럿. (2022년 10월 11일). KF-16 출격 시 북한이 ‘헉’ 겁내는 이유! 중원 기지에 가서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제19전비 2편] [영상]. Youtube. https://youtu.be/2esgg3nGD_E
  • 진격의 아재 AJAE GOGO!. (2021년 5월 12일). [Air issue:동북아 최강의 전투기 KF-16VIPER![EP.1 F-16의 탄생에서 F-16PB, KF-16 도입까지] "KF-16 업그레이드와 전자전기의 필요성 " [영상]. Youtube. https://youtu.be/DHMv-WtSY0I
  • 유용원TV. (2022년 4월 28일). 첫 공개! 국산 FA-50 경공격기 AGM-65 ‘매버릭’ 공대지 미사일, AIM-9 ‘사이드 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실무장 장착, 공군 8전투비행단 전투태세훈련 현장취재 [영상]. Youtube. https://youtu.be/TesCrodB7OQ
  • 유용원TV. (2022년 5월 4일). 공군전력 발전 방향 세미나 라이브 영상 [영상]. Youtube. https://youtu.be/GXVy9veRCaY?t=5244
  •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2022년 5월 27일). FA-50 Fighting Eagle : Light Combat Aircraft [영상]. Youtube. https://youtu.be/f3o2aUwgDWo
  •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2022년 12월 6일). [Part.1] 참다못한 KAI 현직자들 등판! ‘FA-50 논란종결해 드립니다’ FA-50 Q&A 1부 [영상]. Youtube. https://youtu.be/KlGcURX9dxI
  •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2022년 12월 20일). [Part.2] 참다못한 KAI 현직자들 등판! ‘FA-50 성능 개량, 어디까지?’ FA-50 Q&A 2부 [영상]. Youtube. https://youtu.be/riSb7pmbw5k
  • KBS 다큐. (2020년 9월 17일). ★비행기 배달이요★ 국산 T-50 골든이글 첫 해외 수출 밀착 다큐 | 골든이글 T-50, 인도네시아를 날다! | 전투기 밀착다큐 시리즈 3탄 (KBS 140107 방송) [영상]. Youtube. https://youtu.be/NHGFGiGBIeQ
  • Lockheed Martin. (2016, Sep 12). T-50A for Advanced Pilot Training [Video]. https://youtu.be/S-2VEQJEK9A
  • Lockheed Martin. (2017, Sep 18). T50A: Mission X [Video]. Youtube. https://youtu.be/K1GsXGNrSB4
  • hassel2000. (2008, Jul 16). Northrop F-20 Tigershark Crash (1984) [Video]. Youtube. https://youtu.be/JWtpdsfwq3w
  • elufatv. (2013년 5월 11일). 들꽃소녀 [영상]. Youtube. https://youtu.be/aXN8IgEttzY
  • soffkj4y. (2011, Oct 3).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People’s Army” (April 25, 1992) [Video]. Youtube. https://youtu.be/EaBKZTf0W5Q
  • Weird NK videos archive. (2016, Sep 6). The Parade of the KPA. High Quality (2002) [Video]. Youtube. https://youtu.be/5KzGmM34vUc
  • Military Aviation Videos. (2019, Jul 12). North Korean People’s Army Air Force demonstration for Kim in 2013 [Video]. https://youtu.be/MkarV_CysYU
  • Sam Chui. (2016, Sep 29). Wonsan Air Festival Highlights, the First Air Show in North Korea [Video]. https://youtu.be/VtK_OsSXaPE
  • The Sun. (2018, Sep 11). North Korea 70th Anniversary Military Parade 2018 (FULL) [Video]. https://youtu.be/ITRCCZ_x5nU
  • NK News. (2020, Oct 10). North Korea Military Parade 2020 - Livestream & Analysis [Video]. https://youtu.be/w8dZl9f3faY
  • NK News. (2022, Apr 26). North Korea Military Parade 2022 - Livestream & Analysis [Video]. https://youtu.be/H8fs1WaBmX0
발표, 공시
법률, 기사 등
브로슈어, 카탈로그, 팜플렛/리플렛, 잡지(비학술적 정기간행물)
언론 보도

6. 함께 보기

이 사이트들은 공식 출처가 아니지만, (2차 출처 또는 개인 웹사이트), 주목할 만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7. 특별 감사

  • @MIRINAE_MIR: 공동저자
  • @Novelpia: 공동저자
  • 통일한국 항공 트리에 관심을 가져 주신 여러분 모두

5 Li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