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먼저 이번 소식을 기다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 저희는 챌린저 2 계열 전차들에 제안된 버그 제보들, 그 덕분에 저희가 수정한 사항,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 저희가 계획중인 사항들을 여러분들께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가장 처음이자 우선적으로, 저희는 여러분들이 챌린저 2에 대한 버그를 제보해주신 것에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이러한 제보 덕분에 다음 작업들이 진행되었으며, 개중에는 다음 메이저 업데이트를 통해 적용될 내용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동성
장갑과 생존성
주포
기타 무장
기타
챌린저 3 TD
- 챌린저 3(P): 부정확한 이름
- 챌린저 3(P): 장갑이 비어 있거나 모델링과 일치하지 않은 문제
- 챌린저 3(P): 탄약고 주변 장갑이 존재하지 않던 문제
- 챌린저 3(P): 부정확한 무게
- 챌린저 3(P): 파편 방지대가 존재하지 않던 문제
- 챌린저 3(P): 잘못된 엔진음
- 챌린저 3 (TD) 포탑 하부가 투명 처리되어 있고 잘못된 위치에 존재하던 문제.
- 챌린저 3 (TD) 버슬 내 탄약이 폭발하지 않던 문제.
이러한 리포트들과 제안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포 포방패의 방호력에 관한 제안
먼저, Fireball_2020 님이 게시해주신 챌린저 2 전차의 포방패 관련 제보를 확인해 보도록 하죠. 우선, 사진들을 기반으로 하여 포방패의 구조를 최대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신 점에 감사드리며 이 사진들을 최대한 자세하게 확인하였습니다.
본 제보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포탑(포방패와 포탑 정면 장갑 부분) 방호력이 물리에너지 및 화학 에너지 탄을 이용하여 테스트되었으며, 두 종류의 탄종 모두 방어해낼 수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제보에 포함된 테스트에는 저희에게 가장 필요한 정보들(사용된 무장, 포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해당 정보에 기반하여 변화를 주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기술적 면으로 보았을 때 주 장갑대 ( 큰 면적과, 외부와 차체 하부 장갑 )와 포방패(큰 장갑을 수용할 수 없는 포신의 안정을 위한 부분)에 균일한 방호력이 적용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어떠한 포탄이나 무장으로 테스트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공개 자료를 소유하고 있으시다면, 저희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이곳에 글을 작성해주시거나 저희 커뮤니티 매니저들에게 전달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희는 포방패가 가지고 있는 데미지 모델링의 기하학적 구조를 세부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재설정할 계획입니다. 재설정된 포방패는 포방패와 결합된 장갑 층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포탑 정면부에 보이는 결합 구조가 복합 장갑 패키지의 것과 유사하게 적용될 것입니다.
정확히 어떤 것이 진행될 것인지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먼저, 챌린저 2의 데미지 모델링이 저희가 가지고 있는 이용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더 자세하게 수정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더 자세해진다’ 는 것은, 꼭 장갑이 강화된다는 점은 아니라는 점을 미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더 자세해진다는 것의 의미는, 약점 부위가 더 정확해지면서, 포방패의 방호 구획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저희는 챌린저 2 전차의 기하학적 데미지 모델 뿐만 아니라, 내부 장비들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변경점들은 다음 메이저 업데이트에서 적용 될 예정이며 만약 저희가 작업을 일찍 끝낼 경우, 더 이른 시기에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포탑 측면 장갑의 방호력
Flame2512 님 께서 작성해주신 리포트 중 포탑 측면 장갑이 낮다는 내용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하죠. 먼저 이러한 스크린샷과, 장갑 수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신 점에 대해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방호력의 차이는 정확하지 않은 데미지 모델링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방호력을 구현할 수 없게 하는 오차의 경우 앞선 첫 번째 섹션에서 언급하였듯이, 데미지 모델을 기하학적으로 수정하는 작업을 통해서 개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탑재된 활성 반응 장갑의 방호력 수치
다음으로는, Legwolf 님께서 작성해주신 챌린저 2의 반응 장갑의 방호력 수치에 대한 리포트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머 실드 R은 챌린저 2 TES와 챌린저 2 OES에 장착되어 있으며, STANAG 4569 레벨 5 수준의 방호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어떤 각도에서 해당 수준의 방호력을 제공하는 지에 대한 주요 정보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기본적인 STANAG 4569 레벨 5의 성능 수준은, 500m 거리에서 발사된 25mm 날개안정분리철갑탄(APFSDS)을 +/- 30도의 착탄각에서 방호할 수 있는 수준이며 이는 이미 게임 내에 구현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더 먼 거리에서는 수직으로 착탄하는 경우에도 방호가 가능합니다.
아머 실드 R을 장착하고 있는 다른 장비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각 장비의 기본적인 방호력에 따라서 장갑 패키지의 설계가 차량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게임 내에서 구현된 해당 반응 장갑은 해당 리포트에 제시된 문서들과 모순되지 않기 때문에, 저희는 해당 반응 장갑의 방호력에 대한 추가적인 수정을 진행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또한, 반응 장갑이 장착된 부분(게임 내에선 복합 장갑으로 구현됨)에 대해서도, 제시된 정보에 따라 알루미늄 판으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L27A1 탄의 관통력
이번에는 Flame2512 님 께서 작성해주신 L27A1 탄의 관통력에 대한 보고서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리포트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L27A1은 2km 거리에서 700mm 수준의 관통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값에 대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게임 내에서는 표준적인 기준에 따라 설정된 물리적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란츠-오더맷 공식에 따라 관통력이 계산되며, 이 정보에 더해 저희는 공개된 자료와 사용이 가능한 사진 등을 기반으로 관통력을 계산하였습니다.
또한, 영국 자료에 의하면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의 관통력은 70-75도 정도의 경사를 가진 장갑판을 기준으로 발사 시험된 자료를 기준으로 하며, 이것이 해당 탄이 낼 수 있는 최대의 관통력으로 측정됩니다.(관통 흔적의 최대 길이 기준) 이러한 이유가 있기 때문에 해당 자료에서는 700mm의 관통력으로 작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워 썬더에 적용된 자료를 기반으로 테스트 방식을 비교한다면, L27A1은 2km 거리에서 70’ 경사각 기준으로 650mm 이상(225mm 두께와 70도의 경사갑을 가지는 장갑)을 관통할 수 있습니다. 제시된 문서와 게임 내에서 존재하는 관통력 값의 차이는 관통력을 평가하는 기준과, 테스트에 사용된 장갑재의 구성, 그리고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의 착탄 각도, 혹은 발사체 혹은 장갑판의 주요한 요구 사항과 실제 테스트에서 측정된 결과와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L27A1 탄의 형태와 포구 초속에 관련되어, 저희가 놓치고 있었던 추가 공개 자료를 가지고 있으시다면, 저희가 확인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다시 계산을 진행한 후, 이후 필요하다면 수정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전차 내부의 탄약 위치
마지막으로, 다시 Legwolf 님께서 작성해주신 현재 챌린저 2 전차의 탄약 위치 오류에 관련된 리포트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희는 이 내용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고, 저희가 가진 정보와도 비교하였습니다. 하지만, 해당 리포트에서 제시된 몇 부분은 프로토타입 전차(혹은 컨셉 차량)의 내부로 확인되어, 몇몇 부분에서 차이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리포트에서의 묘사로는, 포탑 탄약고에는 20+8발의 탄약이 적재되지만, 게임 내에 존재하는 챌린저 2 전차의 실제 사진에선 포탑 탄약고에는 24발의 탄약만이 적재되어 있었습니다.
저희는 챌린저 2 전차 내부의 탄약 위치를 재확인할 예정이며, 데미지 모델링을 기하학적으로 재작업 할 때, 전차의 엑스레이 또한 재작업하여 이 또한 수정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가까운 미래에 진행될 업데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